장차 군의 중추이자 군사전문가로 성장할 생도들에게 과거의 전쟁경험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연구하는 방법을 가르침으로써 향후 생도들이 군사전략과 작전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함양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 부합 가능한 전공과정 개설·운용을 통해 전쟁수행 이론, 군사제도, 군사과학기술, 군사사상 등 역사적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전쟁에 대한 분석능력을 배양함으로써 향후 생도들이 정예장교이자 군사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군사사학과는 전임직 교수와 군무원 교수, 명예교수 외에 순환직교수와 교수사관을 탄력적으로 운용하여 교수진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교수요원들은 군사사를 본격적으로 전공한 연구자로 국내 민간 대학기관에서 자칫 소홀하게 여겨질 수 있는 군사사를 체계적으로 교육할 뿐만이 아니라 군사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석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등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학과소개
학과목표
장차 군의 중추이자 군사전문가로 성장할 생도들에게 전쟁사에 대한 通史적 이해와 大觀細察을 통해 깨달을 수 있는 역사적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실체적 모습에 다가서도록 하고, 나아가 군의 고급장교에게 요구되는 군사적 기초 소양을 구비시켜 핵심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도함을 군사사학과의 목표로 한다.
개설과목
구분 | 전쟁연구 분야 | 역사문화 분야 | |
---|---|---|---|
교양 | 필수 | |
한국사, 한국사(기초) |
선택 | |
|
|
군사학 전공 | 필수 |
전쟁과 전략 (3학년) |
|
선택 |
|||
일반학 |
필수 |
군사사방법론 (3학년 1학기) |
한국고중세사, 한국의 문화유산, 서양사 해석과 쟁점, 역사문화세미나, 동양문화사, 역사문화콘텐츠, 한국근세사, 근대국가 형성사, 한국사 해석과 쟁점, 한국근현대사 |
선택 |
세계문화사, 동북아시아의 역사 |
교수소개
fnctId=profl,fnctNo=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