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분야는 우리 말과 우리 문학을 통해 사관생도들이 국어 표현 능력과 인문학적 소양을 키우고, 군인에게 요구되는 교양 및 창의성, 유연성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설 과목으로는 교양 및 군사학 전공 과목으로서 <논리적 글쓰기>, <전쟁과 인간과 문학>, <군사화법>, <초급‧중급 한국어(수탁생도)> 등이 있으며, 일반학 전공으로서 ‘군사인문’ 분야를 위한 강의들이 있다. 또한 사관생도들의 독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육사 독서프로그램’을 이끌어 가고 있다. 현재 국어학, 국문학, 국어교육학을 전공하는 5명의 교수가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철학 분야는 사관생도의 인성 및 가치관, 논리적 사고와 건전한 판단력의 함양을 위한 철학적, 논리적 사고를 교육해 왔으며, 특히 1980년대부터는 전문직업군 장교의 투철한 직업윤리 의식 함양을 위해 ‘군대윤리’를 교육해오고 있다. 개설과목으로는 군사학 전공 과목으로서 <군대윤리>, <전쟁철학> 등이 있으며, 일반학 전공으로서 ‘군사인문’ 분야를 위한 강의들이 있다.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을 전공하는 5명의 교수가 강의를 담당한다.
학과소개
학과목표
국어 분야는 사관생도들이 말과 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고 논리정연하게 표현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언어 사용 능력을 계발하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문학 작품을 통해 인간과 사회, 그리고 전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고,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
철학 분야는 폭넓은 세계관과 인생관에 대한 교육을 통해 논리적 사고에 기초한 건전하고 합리적인 판단력과 비판적인 안목을 겸비한 통찰력을 기르고, 사관생도들이 민주시민으로서의 올바른 가치관과 전문직업군 장교로서의 투철한 직업윤리를 갖출 수 있도록 인성과 덕성 및 교양과 지혜를 함양시킨다.
철학 분야는 폭넓은 세계관과 인생관에 대한 교육을 통해 논리적 사고에 기초한 건전하고 합리적인 판단력과 비판적인 안목을 겸비한 통찰력을 기르고, 사관생도들이 민주시민으로서의 올바른 가치관과 전문직업군 장교로서의 투철한 직업윤리를 갖출 수 있도록 인성과 덕성 및 교양과 지혜를 함양시킨다.
개설과목
구분 | 19교과과정 | 24교과과정 | |
---|---|---|---|
지인용과목 |
|
|
|
교양 | 필수 | |
논리적 글쓰기 |
선택 | |
초급한국어 Ⅰ‧Ⅱ, 중급한국어 Ⅰ‧Ⅱ |
|
일반학 전공 | 기초 |
논리학 |
|
필수 |
한국문학사, 언어와 사회문화 철학원전 세미나, 전쟁과 평화 연구 생도주도 설계 과목, 포스트휴먼 시대의 전쟁과 정의 |
한국문학사, 현대문화 비평론, 언어 데이터과학 입문, 언어와 사회문화, 한국전쟁문학론, 철학원전 세미나. 가치론과 군직업윤리, 포스트휴먼 시대의 전쟁과 정의, 전쟁과 평화 연구, 연구과제 실습 |
|
선택 |
연구과제 실습, 현대문화이론과군대문화, 군대와 한국문학, 한국전쟁문학론, 포스트휴먼 시대의 전쟁과 정의, 가치론과 군직업윤리 |
철학과 비판적 사고, 논리학 |
|
군사학 전공 |
기초 |
군대윤리 |
|
필수 |
군대문화의 이해 |
군대윤리 |
|
선택 |
미디어와 전략커뮤니케이션, 군사화법, 한국문학과 리더십, 전쟁철학. 윤리와 군전문직업주의 |
전쟁과 인간과 문학, 군사화법, 전쟁철학 |
교수소개
fnctId=profl,fnctNo=1
관리

김상수
- 직위
- 부교수
- 학처
- 인문과학처
- 학과
- 국어철학과
- 전공분야
- 서양철학, 윤리학
- 학위/출신학교
- 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학력/경력
·학력
- 2008. 03. 육군사관학교 문학사
- 2012. 02. 연세대학교 서양철학 석사
- 2020. 03.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철학석사
- 2022. 06.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철학박사
·경력
- 2012. 03. 육군사관학교 철학강사
- 2013. 03. 육군사관학교 철학 조교수(일반) 겸 국어철학과 및 인문과학처 행정장교
- 2013. 10. - 2014. 10. 육군사관학교 철학 조교수(일반) 겸 화랑대연구소 편집장교
- 2015. 07. - 2017. 07. 육군사관학교 철학 조교수(전임) 겸 인문과학처 행정장교
- 2017. 08. - 2022. 07.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철학박사
- 2023. 04. - 현재. 육군사관학교 철학 부교수
- 2022. 09. - 2023. 12. 14. 육군사관학교 국어철학과장
- 2023. 12. 15. - 현재. 육군사관학교 대외협력실 해외협력장교(교수 겸직)
·이메일 : sangsukim1985@kma.ac.kr
- 2008. 03. 육군사관학교 문학사
- 2012. 02. 연세대학교 서양철학 석사
- 2020. 03.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철학석사
- 2022. 06.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철학박사
·경력
- 2012. 03. 육군사관학교 철학강사
- 2013. 03. 육군사관학교 철학 조교수(일반) 겸 국어철학과 및 인문과학처 행정장교
- 2013. 10. - 2014. 10. 육군사관학교 철학 조교수(일반) 겸 화랑대연구소 편집장교
- 2015. 07. - 2017. 07. 육군사관학교 철학 조교수(전임) 겸 인문과학처 행정장교
- 2017. 08. - 2022. 07.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철학박사
- 2023. 04. - 현재. 육군사관학교 철학 부교수
- 2022. 09. - 2023. 12. 14. 육군사관학교 국어철학과장
- 2023. 12. 15. - 현재. 육군사관학교 대외협력실 해외협력장교(교수 겸직)
·이메일 : sangsukim1985@kma.ac.kr
교육담당
■ 군대윤리(군사학 기초)
■ 논리학(일반학 기초)
■ 전쟁철학(전공 및 군사학 선택)
■ 전쟁과 평화연구(전공)
■ 철학과 비판적 사고(일반학 기초)
■ 기타
■ 논리학(일반학 기초)
■ 전쟁철학(전공 및 군사학 선택)
■ 전쟁과 평화연구(전공)
■ 철학과 비판적 사고(일반학 기초)
■ 기타
연구분야
■ 전공: 서양철학, 윤리학
■ 연구 및 관심분야: 군대윤리, 전쟁윤리, 인공지능과 윤리의 문제, 도덕적 책임의 문제, 집단주의, 온톨로지
■ 연구 및 관심분야: 군대윤리, 전쟁윤리, 인공지능과 윤리의 문제, 도덕적 책임의 문제, 집단주의, 온톨로지
저서/역서
■ 조은영, 김상수 외, 사례 중심 군대윤리 (집문당, 2017)
연구과제/연구보고서
[31] 김종환, 김상수(연구원) 외, “여단 표준과업 분석,” 산학협력단 / 국방과학연구소, 2024.
[30] 조성식, 김상수(연구원) 외, “임무별 군집전술·시나리오 개발 및 성능평가·전술평가 기술 개발,” 산학협력단 / LIG 넥스원, 2024.
[29]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생성형 AI 및 실시간 3D 영상정보 기반의 지능형 지휘통제 역량강화,” 산학협력단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4.
[28] 김인수, 김상수(연구원) 외, “국외 위탁교육 및 교환학기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7] 김용철, 김상수(연구원) 외, “수탁생도 관리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6] 임현명, 김상수(연구원) 외,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5]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군사과학기술융합대학원 신설 추진 전략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4]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시대변화에 부합한 군진수칙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4.
[23] 김상수(연구책임자) 외, “전장윤리 개념 정립과 적용 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4.
[22] 이지수, 김상수(연구원) 외, “미래 육군이 지향해야할 병영문화 적용방안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4.
[21] 이현엽, 김상수(연구원) 외, “군대다운 기풍, 군인적 기질에 대한 現 주소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3.
[20] 강성록, 김상수(연구원) 외, “군인과 군무원 간 서열 등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3.
[19] 김상수(연구책임자) 외, “현대 정의전쟁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병가치문화센터, 2023.
[18] 조성식, 김상수(연구원) 외, “지상군 작전적·전술적 임무수행절차 작성 연구,” 산학협력단 / ㈜ 쌍용정보통신, 2023.
[17] 김주희, 김상수(연구원) 외,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한 군사과학기술융합대학원 신설 추진 대응 방안 수립,” 화랑대연구소, 2023.
[16] 문미남, 김상수(연구원) 외, “국내 학점교류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5]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교과서 구매 시스템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4]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육사 독서프로그램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3] 정 관, 김상수(연구원) 외, “교과과정 개정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2]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군과학기술융합대학원 개설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1] 이현엽, 김상수(연구원) 외, “병영생활 행동강령 해설서 작성,”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3.
[10] 이현엽, 김상수(연구원) 외, “병영생활 행동강령 재정립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2.
[9] 유삼현, 김상수(연구원) 외, “교수업적평가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5.
[8] 나종남, 김상수(연구원) 외, “<교수지침서> 작성 및 발간,” 화랑대연구소, 2014.
[7]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인성교육을 위한 철학 교육방안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4.
[6] 김용주, 김상수(연구원) 외, “병 정체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3.
[5]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대중매체를 활용한 철학 학습자료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3.
[4]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육군 내 여군의 역할과 젠더 인식에 대한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3.
[3] 정재민, 김상수(연구원) 외, “2013년 육사 교육발전 추진업무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3.
[2] 김상수, “군대윤리 CBT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2.
[1] 김상수, “철학 CBT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2.
[30] 조성식, 김상수(연구원) 외, “임무별 군집전술·시나리오 개발 및 성능평가·전술평가 기술 개발,” 산학협력단 / LIG 넥스원, 2024.
[29]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생성형 AI 및 실시간 3D 영상정보 기반의 지능형 지휘통제 역량강화,” 산학협력단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4.
[28] 김인수, 김상수(연구원) 외, “국외 위탁교육 및 교환학기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7] 김용철, 김상수(연구원) 외, “수탁생도 관리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6] 임현명, 김상수(연구원) 외,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5]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군사과학기술융합대학원 신설 추진 전략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4.
[24]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시대변화에 부합한 군진수칙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4.
[23] 김상수(연구책임자) 외, “전장윤리 개념 정립과 적용 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4.
[22] 이지수, 김상수(연구원) 외, “미래 육군이 지향해야할 병영문화 적용방안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4.
[21] 이현엽, 김상수(연구원) 외, “군대다운 기풍, 군인적 기질에 대한 現 주소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3.
[20] 강성록, 김상수(연구원) 외, “군인과 군무원 간 서열 등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3.
[19] 김상수(연구책임자) 외, “현대 정의전쟁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병가치문화센터, 2023.
[18] 조성식, 김상수(연구원) 외, “지상군 작전적·전술적 임무수행절차 작성 연구,” 산학협력단 / ㈜ 쌍용정보통신, 2023.
[17] 김주희, 김상수(연구원) 외,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한 군사과학기술융합대학원 신설 추진 대응 방안 수립,” 화랑대연구소, 2023.
[16] 문미남, 김상수(연구원) 외, “국내 학점교류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5]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교과서 구매 시스템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4]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육사 독서프로그램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3] 정 관, 김상수(연구원) 외, “교과과정 개정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2] 김동욱, 김상수(연구원) 외, “군과학기술융합대학원 개설방안 연구,” 화랑대연구소, 2023.
[11] 이현엽, 김상수(연구원) 외, “병영생활 행동강령 해설서 작성,”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3.
[10] 이현엽, 김상수(연구원) 외, “병영생활 행동강령 재정립 연구,” 장병가치문화센터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2022.
[9] 유삼현, 김상수(연구원) 외, “교수업적평가 개선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5.
[8] 나종남, 김상수(연구원) 외, “<교수지침서> 작성 및 발간,” 화랑대연구소, 2014.
[7]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인성교육을 위한 철학 교육방안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4.
[6] 김용주, 김상수(연구원) 외, “병 정체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3.
[5]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대중매체를 활용한 철학 학습자료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3.
[4] 조은영, 김상수(연구원) 외, “육군 내 여군의 역할과 젠더 인식에 대한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3.
[3] 정재민, 김상수(연구원) 외, “2013년 육사 교육발전 추진업무 연구,” 화랑대연구소, 2013.
[2] 김상수, “군대윤리 CBT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2.
[1] 김상수, “철학 CBT 개발,” 화랑대연구소, 2012.
학술논문
■ 학위논문
- 박사: “Reductive Collectivism and a Moral Justification for Killing in Wa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22.
■ 학술논문
[18] Kim, Sangsu. “Aristotle's Mathematical Ontology: Intelligible Matter and the 'Precision Problem',” 철학논고 9집, (2024). (in English)
[17] Kim, Sangsu. “Rethinking Perception: Conceptual and Nonconceptual Content in Human and Animal Perception,” 철학논고 8집, (2024). (in English)
[16] 김대한, 조은영, 김상수*. “현대 정의전쟁론에서 비전투원 보호의 원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책임-기반의 설명을 중심으로,” 윤리학, Vol. 13, No. 1, (2024). / *교신저자
[15] 김상수. “자율무기체계(AWS)의 도덕적 책임 귀속에 대한 고찰: 집단적 책임을 중심으로,” 윤리학, Vol. 13, No. 2, (2024).
[14] 백승원, 김상수(공동저자) 외,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의 차기 전술차량 계열화 발전방향,”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Vol. 49, No. 3, (2023).
[13] 문현영, 김상수, “치명적 자율무기체계의 도덕적 책임 문제 연구: 로보트 스패로우의 '책임간극' 이론에 대한 고찰,”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9, No. 4, pp.375-381, July 31, (2023).
[12] Kim, Sangsu.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Metaphysical Distinction between Process and Event: focusing on Stout's Distinction,” 철학논고 7집, (2023). (in English)
[11] 김상수, 문현영, “하이브리드 전쟁에서 도덕적 책임의 정당화에 관한 연구: Jus In Bello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9, No. 5, pp.57-63, (2023).
[10] Kim, Sangsu. “Reductive Collectivism and Complicitous Liability in War: Against Bazargan's Account on the Moral Principle for Killing in War,” 윤리학, Vol. 12, No. 2, (2023). (in English)
[9] 김상수, 윤영삼, “인지전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정의전쟁론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9, No. 3, pp.451-459, (2023).
[8] Kim, Sangsu. “A Study on the Moral Justification of Killing in War: Focusing on Reductive Individualists' Responses to the Responsibility Dilemma,” 윤리학, Vol. 11, No. 2, (2022). (in English)
[7] Kim, Sangsu. “A Study on the Status and Role of the First City (City of Pigs) in Plato's Republic,” 철학논고 5집, (2022). (in English)
[6] Kim, Sangsu. “An Objection to Indispensability Arguments,” 철학사상, Vol, 83, pp.265-283, (2022). (in English)
[5] Kim, Sangsu. “The justification of political independence as a just cause of war in reductive individualism,” 윤리연구, Vol 1, No. 136, pp.173-199, (2022). (in English)
[4] 김상수. “군 정신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사회변화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연구, Vol. 18, pp.133-166 (2014).
[3] 김상수.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을 통해 바라본 군인의 책임,” 한국군사학논집, Vol. 69, No. 3, pp.59-83 (2013).
[2] 김상수. “토마스 아퀴나스의 심신관계문제에 관한 연구,” 화랑대논문집, Vol.6, No.1, pp.1-20 (2013).
[1] 김상수. “존 롤즈의 원초적 입장의 정당화와 그 한계,” 화랑대논문집, Vol.5, No.2, pp.1-19 (2012).
■ 학술대회 발표 및 논평
[21] Kim, Sangsu, “The Ontological Status of Collectives: A Dominant Sortal Approach to Collective Identity and Responsibility,” The 20th Workshop of the Korean Society for Analytic Philosophy, 2025.
[20] Kim, Sangsu, “Beyond the Problem of Many Hands: Refining Collective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rough the Distinction of Participatory Intentions,” Winter Conference of the Institute of Philosophy and Humanities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25.
[19] Kim, Sangsu, “Autonomous Weapon Systems and Just War Theory: A Critical Reevaluation of Jus in Bello Principles,” 2025 Seoul Workshop on Philosophy of Machine Learning, 2025.
[18] 김상수, “육군사관학교의 역사에 대한 이해와 현대적 재조명”, 화랑대연구소 세미나, 2024.
[17] 김상수, “군장병 게이트키퍼 위기개입 8단계 토론”에 대한 논평, 미래전략 및 과학기술 심포지움, 미래전략기술연구소, 2024.
[16] 김상수, “자살예방을 위한 20년의 여정과 역할”에 대한 논평, 미래전략 및 과학기술 심포지움, 미래전략기술연구소, 2024.
[15] Kim, Sangsu. “The Future of Military Ethics in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Challenges and Directions,” International Workshop Military Ethic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t Canberra, 2024.
[14] Kim, Sangsu. “AWS of Moral Responsibility,” KADEX International Seminar 2024 “AI and Ethics in Autonomous Weapon Systems,” 2024.
[13] 김종환, 김상수(공동저자) 외,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신뢰도 기반의 수리모형 및 알고리즘,”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4.
[12] 김종환, 김상수(공동저자) 외, “그래프 이론에 기반한 상황에 따른 운용 시나리오 제작방안,”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4.
[11] 김상수, 조성식(교신저자) 외, “임무공간개념모델에서 개체 및 과업온톨로지 상호관계성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23.
[10] 성호용, 김상수(공동저자) 외, “한국형 임무공간개념모델의 과업온톨로지 작성을 위한 AH방법 적용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3.
[9] 김상수, 조성식(교신저자) 외, “군사교리 기반 전술제대 개체온톨로지 작성방안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3.
[8] Kim, Sangsu. “Ethical Issues of Digital Knowledge in War,” Digital Academy at the Academy of Sciences and Literature in Mainz, 2023.
[7] 김상수, “전쟁에서 도덕적 책임 정당화: 전쟁범죄에 대한 지휘책임을 중심으로,”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Institute of East-West Thought at KNU Spring International Conference 2023.
[6] 김상수, “자율무기체계에 대한 적대와 환대의 개념적 고찰 : 도덕적 행위자 개념을 중심으로,” 제7회 세계인문학포럼, 2023.
[5] 김상수, “인공지능 자율무기체계(AWS)의 도덕적 책임에 대한 고찰 : 집단적 책임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동계학술대회, 2023.
[4] 김상수, “칸트의 영구평화론과 현대정의전쟁론: 영구평화의 과정으로서 정의전쟁론,” 한국윤리학회 공동학술대회, 2022.
[3] 김상수, “The Prudential Rationality of Near-term Bias”(Dong-yong Choi)에 대한 논평, 한국윤리학회, 2020.
[2] Kim, Sangsu. “DDE, Quinn, and the Problem of ‘Involvement’,” Conference on Contemporary Philosophy in East Asia (CCPEA),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Taiwan, August 2018.
[1] 김상수, “군 정신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사회 변화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2013.
- 박사: “Reductive Collectivism and a Moral Justification for Killing in Wa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22.
■ 학술논문
[18] Kim, Sangsu. “Aristotle's Mathematical Ontology: Intelligible Matter and the 'Precision Problem',” 철학논고 9집, (2024). (in English)
[17] Kim, Sangsu. “Rethinking Perception: Conceptual and Nonconceptual Content in Human and Animal Perception,” 철학논고 8집, (2024). (in English)
[16] 김대한, 조은영, 김상수*. “현대 정의전쟁론에서 비전투원 보호의 원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책임-기반의 설명을 중심으로,” 윤리학, Vol. 13, No. 1, (2024). / *교신저자
[15] 김상수. “자율무기체계(AWS)의 도덕적 책임 귀속에 대한 고찰: 집단적 책임을 중심으로,” 윤리학, Vol. 13, No. 2, (2024).
[14] 백승원, 김상수(공동저자) 외,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의 차기 전술차량 계열화 발전방향,”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Vol. 49, No. 3, (2023).
[13] 문현영, 김상수, “치명적 자율무기체계의 도덕적 책임 문제 연구: 로보트 스패로우의 '책임간극' 이론에 대한 고찰,”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9, No. 4, pp.375-381, July 31, (2023).
[12] Kim, Sangsu.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Metaphysical Distinction between Process and Event: focusing on Stout's Distinction,” 철학논고 7집, (2023). (in English)
[11] 김상수, 문현영, “하이브리드 전쟁에서 도덕적 책임의 정당화에 관한 연구: Jus In Bello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9, No. 5, pp.57-63, (2023).
[10] Kim, Sangsu. “Reductive Collectivism and Complicitous Liability in War: Against Bazargan's Account on the Moral Principle for Killing in War,” 윤리학, Vol. 12, No. 2, (2023). (in English)
[9] 김상수, 윤영삼, “인지전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정의전쟁론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9, No. 3, pp.451-459, (2023).
[8] Kim, Sangsu. “A Study on the Moral Justification of Killing in War: Focusing on Reductive Individualists' Responses to the Responsibility Dilemma,” 윤리학, Vol. 11, No. 2, (2022). (in English)
[7] Kim, Sangsu. “A Study on the Status and Role of the First City (City of Pigs) in Plato's Republic,” 철학논고 5집, (2022). (in English)
[6] Kim, Sangsu. “An Objection to Indispensability Arguments,” 철학사상, Vol, 83, pp.265-283, (2022). (in English)
[5] Kim, Sangsu. “The justification of political independence as a just cause of war in reductive individualism,” 윤리연구, Vol 1, No. 136, pp.173-199, (2022). (in English)
[4] 김상수. “군 정신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사회변화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연구, Vol. 18, pp.133-166 (2014).
[3] 김상수.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을 통해 바라본 군인의 책임,” 한국군사학논집, Vol. 69, No. 3, pp.59-83 (2013).
[2] 김상수. “토마스 아퀴나스의 심신관계문제에 관한 연구,” 화랑대논문집, Vol.6, No.1, pp.1-20 (2013).
[1] 김상수. “존 롤즈의 원초적 입장의 정당화와 그 한계,” 화랑대논문집, Vol.5, No.2, pp.1-19 (2012).
■ 학술대회 발표 및 논평
[21] Kim, Sangsu, “The Ontological Status of Collectives: A Dominant Sortal Approach to Collective Identity and Responsibility,” The 20th Workshop of the Korean Society for Analytic Philosophy, 2025.
[20] Kim, Sangsu, “Beyond the Problem of Many Hands: Refining Collective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rough the Distinction of Participatory Intentions,” Winter Conference of the Institute of Philosophy and Humanities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25.
[19] Kim, Sangsu, “Autonomous Weapon Systems and Just War Theory: A Critical Reevaluation of Jus in Bello Principles,” 2025 Seoul Workshop on Philosophy of Machine Learning, 2025.
[18] 김상수, “육군사관학교의 역사에 대한 이해와 현대적 재조명”, 화랑대연구소 세미나, 2024.
[17] 김상수, “군장병 게이트키퍼 위기개입 8단계 토론”에 대한 논평, 미래전략 및 과학기술 심포지움, 미래전략기술연구소, 2024.
[16] 김상수, “자살예방을 위한 20년의 여정과 역할”에 대한 논평, 미래전략 및 과학기술 심포지움, 미래전략기술연구소, 2024.
[15] Kim, Sangsu. “The Future of Military Ethics in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Challenges and Directions,” International Workshop Military Ethic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t Canberra, 2024.
[14] Kim, Sangsu. “AWS of Moral Responsibility,” KADEX International Seminar 2024 “AI and Ethics in Autonomous Weapon Systems,” 2024.
[13] 김종환, 김상수(공동저자) 외,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신뢰도 기반의 수리모형 및 알고리즘,”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4.
[12] 김종환, 김상수(공동저자) 외, “그래프 이론에 기반한 상황에 따른 운용 시나리오 제작방안,”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4.
[11] 김상수, 조성식(교신저자) 외, “임무공간개념모델에서 개체 및 과업온톨로지 상호관계성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23.
[10] 성호용, 김상수(공동저자) 외, “한국형 임무공간개념모델의 과업온톨로지 작성을 위한 AH방법 적용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3.
[9] 김상수, 조성식(교신저자) 외, “군사교리 기반 전술제대 개체온톨로지 작성방안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3.
[8] Kim, Sangsu. “Ethical Issues of Digital Knowledge in War,” Digital Academy at the Academy of Sciences and Literature in Mainz, 2023.
[7] 김상수, “전쟁에서 도덕적 책임 정당화: 전쟁범죄에 대한 지휘책임을 중심으로,”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Institute of East-West Thought at KNU Spring International Conference 2023.
[6] 김상수, “자율무기체계에 대한 적대와 환대의 개념적 고찰 : 도덕적 행위자 개념을 중심으로,” 제7회 세계인문학포럼, 2023.
[5] 김상수, “인공지능 자율무기체계(AWS)의 도덕적 책임에 대한 고찰 : 집단적 책임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동계학술대회, 2023.
[4] 김상수, “칸트의 영구평화론과 현대정의전쟁론: 영구평화의 과정으로서 정의전쟁론,” 한국윤리학회 공동학술대회, 2022.
[3] 김상수, “The Prudential Rationality of Near-term Bias”(Dong-yong Choi)에 대한 논평, 한국윤리학회, 2020.
[2] Kim, Sangsu. “DDE, Quinn, and the Problem of ‘Involvement’,” Conference on Contemporary Philosophy in East Asia (CCPEA),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Taiwan, August 2018.
[1] 김상수, “군 정신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사회 변화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