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군사훈련은 기본전투기술과 소부대 전투지휘능력 및 병 지도능력 구비를 목표로 6주간 실시한다.
학년별 수준과 과목 특성을 고려하여 육군훈련소, 부사관학교, 특수전학교, 보병학교에서 위탁교육을 실시하며,
생도 주도 참여형 교육을 통해 훈련내용을 숙달할 뿐만 아니라 교관 수준의 지도능력을 갖추게 된다.
또한 병영생활 및 부사관 체험을 통해 군대 저변을 체감하고 한반도 전구 체험훈련 및 국토순례를 통해 분단국가의
아픔을 느끼고 우리국토의 소중함을 실감하게 한다.
구분 | 내용 | |
---|---|---|
1학년 | 육군훈련소 | ㆍ 병과소개, 장병 기본훈련, 편제화기 및 장비 교육 |
동부군단, 울릉도 및 독도 |
ㆍ 병영생활 체험, 한반도 전구 체험훈련, 국토순례 | |
2학년 | 보병학교, 부사관학교 | ㆍ 편제화기 및 장비교육, 독도법, 분대전투, 개인화기사격 |
중부군단, 제주도 |
ㆍ 병영생활 체험, 한반도 전구 체험훈련, 국토순례 | |
3학년 | 육군사관학교, 부사관학교, 보병학교 |
ㆍ 개인화기사격, 독도법, 미래무기체계, 임관종합평가, 중·소대 전술 |
서부군단, 백령도 |
ㆍ 병영생활 체험, 한반도 전구 체험훈련, 국토순례 |
|
4학년 | 육군사관학교 | ㆍ 군사연구보고서 작성 / 팀 프로젝트 |
KCTC | ㆍ 여단에 포함되어 병과별 훈련 참가 | |
각 병과학교 및 야전부대 | ㆍ 도전형 군사훈련 프로그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