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건
Leader는 Reader다
주요 특징
- ①문무 겸비 : 인문교양(文)과 군사전문성‧책무성(武)을 함께 배양
- 5개 분야(문학, 철학‧역사, 사회‧문화, 과학기술, 군사) 도서 200권 선정
- 200권 중 군사관련도서 100권
- ②연계/융합전공: 전공과정명이 1개이고, 2개 이상의 학문분야로 구성
- ③학점화 운영 : 다양한 독서 관련 활동으로 졸업 전 1학점 취득
- 독서토론, 세미나, 독서토론대회, 책읽기 행사(도서관), 문화주간 활동 등
- ④독서멘토링 제도: 교수자(교수, 훈육요원)에 의한 일대일 독서 지도
개념도
선정도서 200권
5개 분야, 전체 200권 중 군사분야 도서를 강화
구분 | 문학 | 철학·역사 | 사회·문화 | 과학기술 | 군사 |
---|---|---|---|---|---|
총: 200권 | 40권 | 30권 | 30권 | 20권 | 80권 |
분야 내 군사 관련 도서 | 6권 | 5권 | 5권 | 4권 | 소계: 100권 |
권장 독서량: 4년간 최소 64권 이상 (1년 16권 수준)
구분 | 계 | 일반 권장도서 | 군사 도서 | 자율(추천)도서 |
---|---|---|---|---|
권수 | 64권 | 24 | 20 | 20 |
‘정예장교가 될 생도들이 읽어야 할 군사서적 10選’ 제시
군사 분야 도서 중 국내외를 망라하여 생도들이 장교 임관 전 반드시 읽어 볼 필독서 개념의 도서 10권을 선정하여 제시
- 난중일기
- 육사생도 2기(박경석)
- 전술론(마키아벨리)
- 전쟁술(조미니)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투키디데스)
- 손자병법
- 전문직업군(존 하킷트)
- 전쟁론(클라우제비츠)
- 전쟁이 만든 신세계(맥스 부트)
- 한민족전쟁사(온창일)
※ 의무적으로 독서 인증을 요구하는 도서로 운용하지는 않음.
「육사 독서프로그램」 권장도서
구 분 | 200권 | 선정도서 | 자 율추천도서 |
---|---|---|---|
군사연계도서 20권 | |||
문 학 | 40권 | 광장(최인훈), 구운몽(김만중), 그리스로마신화(불핀치), 금오신화(김시습),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돈키호테(세르반테스), 데미안(헤셰), 마음(나쓰메 소세키), 마의 산(토마스 만), 무진기행(김승옥), 백 년 동안의 고독(마르케스), 백석시집, 붉은 수수밭(모옌), 삼대(염상섭), 상실의 시대(하루키), 새하곡(이문열), 설국(가와바타 야스나리), 셰익스피어 비극(4권), 신곡(단테), 아큐정전(루쉰), 안나 카레니나(톨스토이), 양철북(그리스), 오만과 편견(제인 오스틴), 윤동주시집, 위대한 개츠비(피츠 제럴드), 이방인(카뮈), 인연(피천득), 정지용시집, 주홍글씨(호손), 천변풍경(박태원), 토지(박경리), 파우스트(괴테),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도스토예프스키), 허클베리 핀의 모험(마크 트웨인). | 경계선 다시 긋기: 영미문학의 새로운 지평 (스티븐 그린블라트), 구토(사르트르), 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팀 오브라이언) 그라마톨로지(데리다). 독서의 알레고리(폴 드 만), 말과 사물(푸코), 문학 속의 언어학(로만 야콥슨), 변신(카프카), 병신과 머저리(이청준), 비평이론의 모든 것(로이스 타이슨), 서사담론(제라르 쥬네뜨), 서사론의 새로운 연구방향(안스가 뉘닝), 서사학 강의(포터 애벗), 서사학이란 무엇인가(제랄드 프랭스), 소설의 현대시학(리몬 케넌), 시점의 시학(수잔 랜서), 신역사주의(루이스 몬트로즈) 여성주의 고전을 읽는다(한정숙 외) 탁류(채만식), 캐치 22(조지프 헬러), 프랑켄슈타인(메리 셸리) 해체 구성(데보라 에쉬), 현대 비평의 혁명(롤랑 바르트). 3기니(버지니아 울프), 25시(게오르규), S/Z(롤랑 바르트) |
무기여 잘 있거라(혜밍웨이), 삼국지(나관중), 서부전선 이상없다(레마르크) 일리아스(호메로스), 전쟁과 평화(톨스토이), 초한지(미상) | |||
철학‧역사 | 30권 | 고백록(어거스틴), 국가(플라톤), 국부론(애덤 스미스), 논어, 니코마커스 윤리학(아리스토텔레스),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이태진), 라케스(플라톤), 로마인 이야기(시오노 나나미), 명심보감(추적), 목민심서(정약용), 맹자, 방법서설(데카르트), 백범일지(김구), 법의 정신(몽테스키외), 사기열전(사마천), 삼국사기(김부식), 삼국유사(일연), 서양미술사(곰브리치), 여성의 종속(밀), 역사(헤로도토스), 역사란 무엇인가(E.H. 카), 자유론(밀), 장자, 젠더 트러블(버틀러), 한국독립운동사(박찬승). | 공포와 전율(키에르케고르), 나, 너, 우리(뤼스 이리가라이), 대학․중용 강설(이기동), 사랑의 기술(프롬), 사피엔스(유발 하라리), 성경(Bilbe), 아함경, 인간의 본성에 관한 10가지 이론(스티븐슨), 인문학 명강 동양고전(강신주 외), 인문학 명강 서양고전(김상근 외), 여성주의 고전을 읽는다(한정숙), 인간이란 무엇인가(캇시러), 인간이란 무엇인가(파크칼 피크), 인간이란 무엇인가(투르니에), 일반 언어학 강의(소쉬르), 제국의 미래(에이미 추아), 죽음이란 무엇인가(케이건), 포스트휴먼(로지 브라이도티), 한비자(군주론과 제왕학의 고전)(한비), 호모 데우스(유발 하라리) 김승학: 만주 무장투쟁의 맹장(조준희), 김좌진: 만주 항일무장투쟁의 신화(이성우), 대륙으로 간 혁명가들(박환) 민들레의 비상: 여성 한국광복군 지복영 회 고록(지복영), 박상진: 독립전쟁론의 선구자 광복회 총사령(박걸순), 안중근의사의 삶과 나라사랑(기념사업회), 이동녕: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신적 지주(오대록), 이상룡: 서간도 독립군의 개척자(채영국), 이회영: 자유를 위해 투쟁한 아나키스트(김명섭), 장정: 나의 광복군 시절(김준엽), 조성환: 독립군을 기르고 광복군을 조직한 군사전문가(김희곤), 지청천: 한국광복군 총사령관(이현주), 홍범도: 봉오동 청산리 전투의 영웅(장세윤), 황학수: 대한제국군에서 한국광복군까지(한시준) |
강대국의 흥망(폴 케네디), 독립군 전투사(조동걸), 묵자, 영원한 평화(칸트), 전쟁과 동북아 국제질서(역사학회), | |||
사회‧문화 | 30권 | 감시와 처벌(푸코), 과학적 발견의 논리(포터), 과학혁명의 구조(쿤), 국가 간의 정치(모겐소), 기나긴 혁명(윌리엄스), 꿈의 해석(프로이트),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니이버), 리바이어던(홉스), 만들어진 전통(홉스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읽기(브로델), 미디어의 이해(맥클르언), 미국의 민주주의(토크빌), 스티브 잡스(아이삭슨), 심리학의 오해(스타노비치), 슬픈 열대(레비스트로스),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스티븐 컨), 오리엔탈리즘(사이드), 웨스트포인트 리더십(도니슨), 인간관계론(카네기), 정의란 무엇인가(샌델), 정의론(롤스),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브홀쯔), 제2의 성(보봐르), 최고의 리더십(리더투리더재단), 프로텐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베버). | 가르시아 장군에게 보내는 편지(허버드), 가치 중심의 리더십(수잔 쿠즈마스키), 감성의 리더십(다니엘 골먼),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미어셰이머), 거대한 전환(폴라니), 거대한 체스판(브레진스키), 경영학 콘서트(장영재), 공론장의 구조변동(하버마스), 노예의 길(하이에크), 군 리더십(최병순), 긍정심리학(마틴 셸리그만), 넛지(탈러‧선스타인), 다른 세상에서: 문화정치학 에세이(가야 스피박), 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무어),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프리드만), 리더십 불변의 법칙(존 맥스웰), 리더십(소크라테스부터 책웰치까지 전략적 사고 따라하기(한스 힌터후부), 명장의 코드(애드거 퍼이어),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이론(호미 바바), 문화의 해석(클리퍼드 기어츠), 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앤더슨), 사회계약론(루소), 살아있는 우리 신화(신동흔),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니콜라스카),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김진송), 세계는 누가 지배할 것인가?(아탈리),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법칙(스티븐 코비), 속도에서 깊이로(파워스),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세넷), 역사에서 리더를 만난다(유필화), 워렌 베니스의 리더(워렌 베니스), 유럽 국민국가의 계보(틸리), 익스트림 리더십(최병순), 인간의 얼굴을 한 세계화(스티글리츠), 일본을 금하다(김성민), 자본론(마르크스), 전투의 심리학(데이브 그로스먼), 진성리더십(윤정구), 팩트풀니스(로슬링), 헬로, 트러스트 경영은 과학이다(박선주 외), 회복탄력성(김주환), 희망의 이유(제인 구달). ADRP 6-0 Mission Command(미육군), ADRP 6-22 Army Leadership(미육군), GRIT(그릿)(안젤라 더크워드), Serve to Lead(영국 육사). 21세기 자본(피케티) |
국화와 칼(베네딕트), 국제분쟁의 이해(나이), 군주론(마키아벨리), 영혼을 지휘하는 리더십(퍼이어), 총균쇠(다이아몬드), | |||
과학기술 | 20권 | 거의 모든 것의 역사(브라이슨), 링크(라슬로), 미래의 물리학(미치오 카쿠), 부분과 전체(하이젠베르크) 빅데이터 승리의 과학(고한석), 수학의 확실성(모리스 클라인), 시간의 역사(호킹), 엔트로피(리프킨), 우연과 필연(모노), 우주의 구조(브라이언 그린), 이기적 유전자(도킨스), 이중나선(왓슨), 종의 기원(다윈), 카오스(글릭),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파인만), 화학의 시대(필립 볼). | 가상 증강현실이 만드는 미래(한국과학기술기 획평가원), 건축물은 어떻게 해서 서있는가(살바도리), 꿈 속의 미래 첨단과학기술(김문조) 공간과 장소(이푸 투안), 도해 군용차량(노가미), 무기 바이블(남도현), 무기의 탄생(남도현), 벌거벗은 통계학(윌런), 십대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의 미래(전승민), 유도무기란 무엇인가(김현), 재난 그리고 행복(오경두), 전차‧장갑차의 구조와 원리(허장욱), 전투기 100년의 역사(김성걸), 천문학 콘서트(이광식), 하늘에 도전하다(장조원), 항공기시스템 엔지니어링(송윤섭), 해양 과학기술의 현재와 미래(김웅서), 행복한 프로그래밍(임백준). |
웨폰 사이언스(지현진), 전쟁의 물리학(베리 파커), 전쟁이 발명한 과학기술의 역사(도현신), @-War(셰인 해리스) | |||
군 사 | 80권 (연계도서 포함 100권) | 과학기술과 전쟁(크레펠트), 군대 명령과 복종(니코 케이저), 군대문화 이야기(양희완), 군대와 사회(온만금), 군사사상론(군사학연구회), 군사전략입문(에체베리아), 군인(슈나이더), 군인과 국가(헌팅톤), 극한의 경험(유발 하라리), 근대국가와 전쟁(박상섭), 기계화전(퓰러), 기동전(리처드 심프킨), 나폴레옹전쟁(반즈), 나폴레옹 전쟁금언(나폴레옹), 난중일기(이순신),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백선엽),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김시덕), 대담한 작전(유발 하라리), 롬멜 보병전술, 롬멜 전사록, 명장열전(이성무),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심킨스), 문명과 전쟁(브렛 보든), 문명과 전쟁(아자 가트), 보급전의 역사(크레펠트), 새로운 전쟁과 낡은 전쟁(메리 캘도어), 손자병법, 어떻게 전쟁을 끝낼 것인가(이시언), 오자병법, 왜 1차 세계대전은 끝나지 않았는가(로버트 거워스), 워 다이어리(브라이언트), 위대한 3인의 전사들(브라이턴), 유럽사 속의 전쟁(마이클 하워드), 육사생도 2기(박경석), 이라크전쟁(이근욱), 전격전의 전설(프리저), 전략론(리델 하트), 전문직업군(하키트), 전란으로 읽는 조선(한국학연구원), 전술론(마키아벨리), 전쟁(슈타틀러), 전쟁과 로지스틱스(에바라 켄스케), 전쟁과 무기의 세계사(이내주), 전쟁과 반전쟁(토플러), 전쟁과 정의(왈쩌), 전쟁론(다키 고지), 전쟁론(클라우제비츠), 전쟁범죄란 무엇인가(후지타 히사카즈), 전쟁술(조미니), 전쟁연대기(커민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알렉시예비치), 전쟁의 세계사(맥닐), 전쟁의 역사를 통해 배우는 지정학(다카하시 요이치), 전쟁의 패러다임(스미스), 전쟁이 만든 신세계(맥스 부트), 전쟁하는 세상(파그덴), 전투감각(서경석), 제공권(두헤), 제2차세계대전(처칠), 진화하는 전쟁(에드워즈), 징비록(유성룡),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4: 전쟁(코젤렉), 콜린파월 자서전, 폭력 비판을 위하여(벤야민), 폭력의 시대(홉스봄), 펠로폰네소스전쟁사(투키디데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플루타르코스), 한국전쟁(박태균), 한국전쟁의 국제사(스톡),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김영호),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박명림), 한민족전쟁사(온창일), 해동명장전(홍양호),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마한), 핵무기에 관한 다섯가지 신화(윌슨), 1차 세계대전사(키건), 2차 세계대전사(키건), 1차 세계대전의 기원(박상섭), 20세기의 전쟁과 평화(이리에 아키라), We were soldiers(무어). | 갈리아 원정기(케이사르), 기사도에서 테러리즘까지(리오 브로디), 군사작전을 통해 본 6.25전쟁(나종남), 마르스의 두 얼굴(마이클 왈쩌), 다시 쓰는 전쟁론(마틴 반 크레펠트), 독소전쟁사 1941~1945(데이비드 M. 글렌츠), 마지막 목격자들(알렉시예비치), 무예도보통지(이덕무∙박제가), 옛그림에서 만난 우리무예풍속사(허인욱), 이순신(김종대), 전략론(온창일), 전쟁과 평화의 윤리(더글라스 래키), 전쟁론(온창일), 전쟁론 강의(김만수), 전쟁본능(마틴 반 크레펠트), 전쟁론 이펙트(휴 스트레이천), 전쟁론 읽기(베아트리체 호이저), 전쟁의 재발견(마이클 스티븐슨), 좋은 전쟁이라는 신화(자크 파월), 평화는 총구에서 나오지 않는다(아르노 그륀), 폭력의 세기(한나 아렌트), 1차세계대전(마이클 하워드), 2차 세계대전(게르하트르 와인버그), 2차 세계대전시크릿 100선(줄리안 톰슨). |
기타 추천도서는 자유선정 도서로 읽기 가능
학교 구성원의 추천에 따라 추천도서 목록 최신화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