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학전공 과정
일반학 전공과정은 문학사, 이학사, 공학사를 수여하기 위한 과정으로 단일전공, 연계(트랙) 전공, 그리고 융합전공으로 구성된다.
- 1)단일전공: 전공과정명이 1개이고, 단일학문분야에서 필수, 선택 구성
- 2)연계/융합전공: 전공과정명이 1개이고, 2개 이상의 학문분야로 구성
일반학 전공과정은 문·이과 계열로 구분하여 시행된다. 단일전공과 연계전공의 경우, 문과 15개, 이과 9개 등 총 24개 전공으로 구성되며, 융합전공은 생도의 희망과 학교 내 육군연구센터의 역량을 고려하여 각 계열별 1~2개를 편성하되,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한다. 생도들의 병과와 희망진로를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하고, 장차 전문학술연구에 필요한 해당 전공의 필수역량을 구비한다. 또한 졸업논문 주제 및 생도개인의 관심분야에 관한 과목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높이고 보다 폭넓은 학술연구에 필요한 역량을 부여한다.
일반학전공 과목 및 학점
일반학전공 45+ | 기초 | 15+ | 게임이론, 국제관계의 이해, 논리학, 심리학 개론, 양적데이터 분석, 외국지역연구의 이해,정치경제의 이해, 초급외국어 (택 5+) |
공학개론, 공업수학, 기초 알고리즘, 미분방정식,선형대수학, 일반물리학, 일반화학, 응용물리학 (택 5+) |
||||||||||||||
---|---|---|---|---|---|---|---|---|---|---|---|---|---|---|---|---|---|---|
필수 | 15+ | 문학사 | 이학사 | 공학사 | ||||||||||||||
국제관계 | 군사사 | 군사영어 | 군사인문 | 리더십 | 응용경제 | 지역학 | 운영분석 | 응용물리 | 응용화학 | 컴퓨터과학 | 기계공학 | 시스템공학 | 전자공학 | 토목공학 | 환경공학 | |||
융합전공: 군대사회문화연구(문학사), 사이버전(이학사)(학교장 승인 후 융합전공 추가 가능) | ||||||||||||||||||
선택 | 15+ | 군사학/일반학전공 선택, 융합전공 선택 과목 중 ACP (Academic Counselor Professor)와 논의 후 5+ 과목 선택 (체육학 이론 과목 포함) |
군사학 전공 과정
군사학 전공과정은 장차 군사전문가로서 발전할 수 있는 역량을 구비하기 위한 과정으로 국방전략, 지휘관리, 군사과학, 군사공학 등 4개 분야로 편성된다. 생도들은 모든 장교에게 요구되는 가장 기초적인 군사적 소양(법, 전쟁사, 리더십, 미래전 양상, 군사영어, 군사이론)을 함양하기 위한 군사학 기초과목, 생도들의 전공과 병과를 고려, 장차 군사전문가로서 구비해야 할 분야 별 필수 역량을 구비하는 군사학 필수과목, 4개 분야 별로 생도들의 자기주도성 신장을 위해 편성하며, 통섭형 인재육성을 위해 타계열 과목을 3과목 9학점 이상 수강하는 군사학 선택과목으로 구성된다.
군사학전공 과목 및 학점
군사학전공 63+ | 기초 | 30 | Military English, 국가안보론, 국방 ICT, 군사공학, 군사이론I, 군사이론II, 미래무기체계, 리더십, 전쟁의 역사, 헌법과 민주시민 | |||
---|---|---|---|---|---|---|
필수 | 15+ | 국방전략 | 지휘관리 | 군사과학 | 군사공학 | |
|
|
|
|
|||
선택 | 18+ | 경제전과 협상전략 국제법 군대혁신의 역사 군비통제와 WMD 내전과 UNPKO의 이해 역사 속 전쟁과 예술 이행기 경제와 경제체제론 현대전쟁 연구 등 | War in Media 과학적 의사결정 국방획득과 방위산업 군대와 사회 군대와 정신병리 군사실무영어실습 군사심리학 미디어와 전략커뮤니케이션 상담과 코칭 전쟁법 전쟁철학 등 | WMD 이해와 실제 I-화생무기 WMD 이해와 실제 II-핵무기 국방자료분석 국방자료시각화 군 위험물 취급과 안전관리 군사생리 군사암호의 이해 군사음향학 레일건 이론 및 설계 머신러닝의 국방활용 수학적전투모델이론 우주의 군사적 활용 정보보안의 군사적 활용 정보보호 알고리즘 핵에너지 개론 등 | C4ISR 국방기술특론 국방로봇 국방지형정보체계 군사 OR 군 안전관리 군 재난관리 군 환경관리 무기인터페이스 인공지능과 무기설계 전술통신네트워크 전자감시체계 전투모의이론 전투차량 등 |
융합전공 과정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의 단일전공 체계로는 인공지능, ArmyTiger4.0, 무인전투체계 등 복잡하고 고도화된 육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관련분야의 벽을 허물고 생도들로 하여금 인문과학적 혹은 자연과학적 시각 등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육사에 설치된 육군 5대 연구센터와 연계하여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군수요 중심의 융합전공을 지속개발한다.